카테고리 없음

1. 예의란

아몽블 2023. 5. 25. 00:58
반응형

인류의 역사 속에서 예의는 다양한 문화와 전통가운데 발전되어 왔습니다. 그 이유는 인간 간의 상호작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뿐만 아니라, 사회 전체의 조화를 이루어주는 중요한 기능을 하기 때문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예의의 역사를 추적하며, 인간 사회가 지향하는 예의에 대해 탐색하고 이해해봄으로써 큰 그림에서 인간의 예의에 대한 가치와 의미를 찾아보고자 합니다. 고대 문명부터 현대의 사회까지 다양한 시대와 문화를 지나며 변화와 발전을 겪은 예의의 역사를 통해, 우리가 왜 예의에 소중히 하는지 그 깊이를 한층 더 이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합니다.

 

목차

1. 예의의 역사

 

예의의 역사


푸타호텝의 격언은 고대 이집트의 비지인 푸타호텝이 쓴 것으로, 기원전 2375년에서 2350년 사이에 작성되었습니다. 이 격언에서는 시민의 미덕을 기리고자 진실성, 자제심, 타인에 대한 친절함 등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몇 가지 주요 주제와 모티브가 반복적으로 나타납니다.

첫째로, 격언은 다른 사람의 이야기를 경청하고 학습하는 것을 강조합니다. 푸타호텝은 인간의 지식의 불완전성을 염두에 두며, 열린 마음으로 타인의 이야기를 듣고 배우는 것을 중요시합니다. 또한, 가능한 열린 대립을 피하고 대화와 상호작용에서 긍정적인 태도를 유지하는 것이 약점으로 간주되어서는 안 된다고 언급합니다.

둘째로, 푸타호텝은 정의를 추구하는 것을 최우선으로 강조하며, 하나님의 명령이 모든 일에서 우세하다는 것을 인정해야 한다고 말합니다. 이는 인간의 행동에서 높은 도덕적 가치를 추구하고자 하는 의지를 보여줍니다.

푸타호텝의 격언 중 일부는 위대한 인물(정치적, 군사적, 종교적) 앞에서 올바른 행동을 보여주는 방법에 대한 가르침을 포함합니다. 이는 적절한 마스터를 선택하고 마스터를 섬기는 방법을 지시하며, 올바른 지도자로 성장하기 위해 열린 마음과 친절심을 갖추는 것이 중요하다는 메시지를 전달합니다.

또한, 욕은 모든 악의 근원이며 지켜야 할 것이며, 가족과 친구에 대한 관대함은 칭찬받을 만한 가치가 있다는 것도 푸타호텝의 격언에서 나타납니다. 이는 인간 간의 관계에서 긍정적인 도덕적 가치를 지속적으로 강조하는 내용입니다.

이러한 격언들은 푸타호텝이 비지로서 고대 이집트 사회에서 인간의 올바른 행동과 도덕적 가치를 가르치고자 했음을 보여줍니다. 이 격언들은 올바른 행동의 지침과 인간 간의 관계에서의 도덕적 가치를 강조하며, 고대 이집트의 문화와 윤리 체계에 큰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공자(Confucius, 기원전 551년-479년)는 중국의 지식인, 철학자로서 유명합니다. 그는 개인의 도덕성과 정부의 도덕성, 사회관계의 올바름, 개인적 거래에서의 정의 추구, 그리고 모든 개인적 관계에서의 성실성을 강조했습니다.

공자는 사회적 질서와 윤리적 가치를 중시하며, 개인과 사회 간의 상호작용을 기반으로 하는 정치 철학을 주장했습니다. 그는 사회적인 역할과 관계에서의 적절한 행동과 예절을 강조하였으며, 집단 안에서의 조화와 협력을 중요하게 여겼습니다. 공자의 가르침은 사회적 질서의 구축과 인간관계의 원활한 기능을 도모하기 위한 철학적 근거로 쓰였습니다.

또한, 공자는 개인의 도덕성과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했습니다. 그는 학습과 교육을 통해 인간은 성장하고 완전해질 수 있다고 믿었습니다. 공자의 교육 이념은 학문의 수행과 도덕적 가치의 함양을 결합하여 사회적으로 윤리적인 인간을 양성하는 데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또 다른 인물인 카사티코 백 바르다살레 카스티글리오네(Castiglione, 1478년-1529년)는 이탈리아 궁녀이자 외교관, 군인이자 궁정 궁녀의 기(祈)입니다. 그는 "국가론"이라는 저서를 통해 왕실 궁궐에서의 예절과 사회적 행동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했습니다. 이 책은 궁궐 내에서의 신사적인 태도와 행동, 그리고 외국 고위 관리들에게 호의적인 인상을 주기 위한 궁궐 에티켓을 다루었습니다.

카스티글리오네는 예절, 언어, 태도, 세련된 행동 등을 강조하며, 궁궐 생활에 있어서 왕실 귀족들이 지녔어야 할 예절과 관습에 대해 상세하게 기술했습니다. 그는 왕실 궁궐에서의 행동 지침을 제시하면서, 궁궐 내에서의 상호작용과 국가 관리에 있어서의 적절한 태도와 행동의 중요성을 강조했습니다.

또 다른 역사적 인물로는 프랑스 왕 루이 14세(Louis XIV, 1638년-1715년)가 있습니다. 그는 프랑스 귀족을 길들이고 프랑스 절대 군주로서의 권력을 주장하기 위해 성문화된 에티켓을 사용했습니다. 그의 궁정은 파리 남서부에 위치한 베르사유 궁전에서 국왕이 외국 고위 관리들을 환영하는 장소로 사용되었습니다.

루이 14세는 왕실 귀족들의 행동과 태도에 엄격한 규율을 부과하였으며, 궁궐 생활에서의 상호작용과 예절을 강조했습니다. 그의 궁궐은 성문화된 분위기를 통해 왕의 권력과 위엄을 상징하는 곳이었으며, 외국 고위 관리들에게 호의적인 인상을 주기 위해 엄격한 에티켓을 준수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여겼습니다.

이러한 위대한 인물들의 격언과 가르침들은 각자의 시대와 문화에서 중요한 가치와 행동 원칙을 전달하였습니다. 이들의 가르침은 개인의 도덕성, 사회적 규범, 국가적 영성 등 다양한 영역에서 올바른 행동의 원칙과 가치를 강조하며, 그들의 문화와 역사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반응형